티스토리 뷰
목차
공기청정기 필터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었습니다. 유해물질이 검출된 호환필터에 대해 확인하시려면 아래 제품 조사 결과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2025년 1월 22일, 환경부는 한국소비자원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함께 실시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시중에서 유통 중인 공기청정기 필터 42종 중 8종에서 사용이 금지된 살생물물질인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이 검출되었습니다.
조사 대상이 된 필터는 주요 브랜드와 호환 가능한 제품들로, 온라인 쇼핑몰, 대형마트, 및 오프라인 전문매장 등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판매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필터는 주로 저가형 호환 제품으로 광고되며, 일부는 정품처럼 위장된 경우도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됩니다.
이 사실은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고 있으며, 필터 선택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하고 있습니다.
MIT란 무엇인가요?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은 살균제 및 보존제로 사용되는 물질로, 과도한 노출 시 피부, 호흡기, 눈 등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유해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MIT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장기적으로는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5년 국제환경보건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에서는 MIT가 저농도에서도 피부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특히 공기청정기 필터에서 이 물질이 방출될 경우,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가 오히려 건강을 해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MIT는 필터형 보존처리제품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조사 결과 어떤 제품이 문제가 되었나?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문제의 8개 필터는 LG전자, 위닉스, 샤오미 등 주요 브랜드와 호환되는 제품들로 밝혀졌습니다.
이들 제품은 주로 저렴한 가격과 호환성을 강조하며 판매되고 있으며, 소비자가 정품과 호환 필터를 구분하기 위해 브랜드 로고, 인증마크, 및 제품 설명서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품 필터는 주로 공식 대리점이나 제조사 웹사이트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제품 포장에 있는 QR 코드나 인증 라벨을 스캔하여 정품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도 유용합니다.
이들 필터는 몽골루, 상상그램, 씨엑스텍스타일코리아, 에이치투에스 인터내셔널 등 여러 업체에서 제조, 수입, 판매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검출된 MIT의 양은 최소 1.9mg/kg에서 최대 10.7mg/kg에 이르렀으며, 이는 안전기준을 위반한 수치입니다.
더욱이 이들 제품은 항균 및 보존 목적으로 물질을 사용하고도 '필터형 보존처리제품'으로 안전기준 적합 확인 및 신고 절차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경부의 조치
환경부는 해당 8개 제품에 대해 제조‧수입‧판매금지 및 회수 명령을 내렸습니다.
또한 공기청정기 필터 제조사 및 판매업체에 자체적인 안전성 조사를 시행하고, 모든 제품이 안전기준 적합 확인 및 신고 절차를 준수하도록 요청했습니다.
소비자들에게 주는 메시지
정품 여부 확인
- 정품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조사의 정품 필터는 안전성 문제가 발생한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 브랜드 로고, 인증마크, 제품 설명서를 확인합니다.
- QR 코드나 인증 라벨을 스캔하여 정품 여부를 확인합니다.
안전기준 적합 확인
- 필터가 관련 법규를 준수했는지, 안전기준 적합 확인 및 신고 절차를 완료했는지 확인하세요.
호환 필터 사용 시 주의사항
- 호환 필터를 사용할 경우, 신뢰할 수 있는 제조사 제품인지 확인하고, 필터에 사용된 소재와 유해물질 포함 여부를 반드시 검토하세요.
- 온라인 구매 시 소비자 리뷰와 상세 설명을 꼼꼼히 읽는 것도 중요합니다.
맺음말
공기청정기는 우리 가정과 사무실에서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는 중요한 기기입니다.
하지만 이번 환경부의 발표처럼 필터 선택이 잘못되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소비자 스스로가 더 신중하게 제품을 선택하고, 안전성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환경부와 관련 기관은 앞으로도 철저한 조사와 관리로 소비자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특히, 정기적인 필터 안전성 조사, 유해물질 함유 제품의 사전 차단, 그리고 안전 인증 제도의 강화를 통해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예를 들어, 2025년 하반기부터는 유해물질 검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작하고, 제조사 대상의 강화된 인증 절차를 단계적으로 도입할 예정입니다.
우리 모두가 믿고 사용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필터를 위해 관심을 가지고 함께 지켜봐야 할 때입니다.